게임/스타크래프트 유즈맵

Chau Sara - The Xenomorphs v0.8

Ash-Fred 2021. 5. 18. 11:07


배경

The once-prosperous planet of Chau Sara harboured a menacing presence lurking within its depths. Upon discerning the existence of the creatures now known as xenomorphs, the Cerberus force swiftly moved to eradicate them. After a covert operation seemingly succeeded, the xenomorphs re-emerged, launching a devastating assault on a Cerberus base. The Cerberus force regroups and mobilises reinforcements, only to confront the true strength and resilience of this formidable adversary.

한때 번영했던 행성 차우 사라, 품에는 심연에 숨은 위협이 도사리고 있었다. 케르베로스 부대가 현재 제노모프라 불리는 그 위협적인 존재를 확인하게 되었고, 신속히 제노모프를 제거하기 위해 움직였다. 그렇게 비밀 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듯하였지만, 제노모프는 곧 다시 나타나 케르베로스 기지를 맹공했다. 케르베로스 부대는 다시 집결하여 추가 병력을 투입하나, 이 강력한 적의 진정한 힘과 끈기를 절실히 깨닫게 될 뿐이다.


설정

  • 스타크래프트 셰어웨어·데모 버전 시나리오에서 미지의 생명체 저그가 나타났을 때 케르베로스 사령관은 해당 생명체를 이미 알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플레이어가 저그를 진압한 후 플레이어에게 관련한 내용을 발설하지 말 것을 지시합니다. 그래서 셰어웨어·데모 버전 시나리오에 앞서, 케르베로스 부대가 저그의 존재가 외부에 알려지기 전에 조용히 저그의 진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게 된다는 설정을 두어 만든 맵입니다.
  • 맵을 정글 느낌이 나도록 만들지는 않았습니다만, 타일셋이 배드랜드가 아니라 정글 월드인 것은 의도적입니다. Liberty's Crusade에서 차우 사라는 한때 정글이었다고 언급하고 있고*, 테란의 난개발로 인류가 정착한 부분이 배드랜드가 되었다고 한다면 저그의 존재가 테란에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볼 때 저그 진압에 실패한 곳은 배드랜드가 아닌 정글 월드여야 할 것입니다.
*Mar Sara had always been only borderline habitable, in comparison to the formerly rich jungles of its sister in farther orbit.

임무

  • 이 맵은 플레이어가 저그가 되어 저그를 말살하고자 하는 테란을 상대하는 미션입니다. 블리자드에서 제공하는 맵인 Twilight Struggle과 비슷한 종류입니다.
  • 1인에서 3인까지 가능하고, 1P는 필수입니다.
  • 맵 중앙의 반파된 테란 건물 잔해 사이에서 Mutant Xenomorph(영웅 퀸)과 몇몇 저그 건물들로 시작하게 되며, 대각선 4방향에 상대방 (컴퓨터) 큰 기지가 있고 상하 방향에 작은 기지가 있습니다.
    • 상대 기지의 커맨드 센터를 모두 파괴하면 승리하며 작은 기지 파괴는 승리 조건이 아닙니다.
    • 아군의 Mutant Xenomorph가 사망하면 패배합니다.

진행

  • Mutant Xenomorph는 끊임없이 브루드링을 낳습니다.
  • 시작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상대 기지에서 상대 병력이 공격을 시작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공격 병력이 많아집니다.
  • 대각선 네 방향의 큰 기지는 각 커맨드 센터가 파괴되면, 상하 작은 기지는 벙커가 모두 파괴되면 그 방향에서는 적군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 적군 기지 파괴 시마다 일정량의 자원이 보상으로 주어지며, 상하 작은 기지는 미사일 터렛까지 파괴하여야 보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벙커만 파괴하면 적군은 나오지 않으나 보상은 주어지지 않습니다.)
  • 사진에서 보이는 자원은 3인 플레이 기준이고 1인 및 2인으로 하면 자원이 더 적게 배치되어 있습니다. 1인 플레이를 염두에 두고 만든 맵이라 2인 이상 플레이 시 현저하게 쉬워집니다.

설정

  • 오리지널이라는 설정이 있으므로 오리지널로 실행하기를 권장하며 브루드 워에서 추가된 유닛 또는 업그레이드를 사용하면 반칙입니다.
    • 브루드 워에서 추가된 러커를 생산하면 상대방 병력이 대폭 강해지며, 울트라리스크 캐번에서의 업그레이드는 패널티는 없으나 스스로 이지 모드를 한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디바우어러는 생산할 수 없습니다.
  • 업그레이드는 무제한으로 가능합니다.
  • 벌처는 스파이더 마인 매설을 하지 않으나 공격력이 30이고, 시즈 탱크는 언덕 위 방어 병력을 제외하고 시즈 모드를 하지 않으나 공격력이 45입니다.
  • 드롭십은 스파이더 마인을 지속적으로 내리며, 드롭십이 Normal 게임 속도 기준으로 60초간 파괴되지 않거나 Mutant Xenomorph와 충돌하면 폭발을 일으키며 Mutant Xenomorph를 제외한 주위 모든 유닛과 건물(미네랄 필드와 베스핀 가이저 포함)을 파괴합니다.
  • 상대 커맨드 센터는 무장되어 있고 20×2 지상 공격을 3발씩 합니다.

난이도

  • 적의 공격이 시작되기 전에 맵 좌우에 있는 비콘에 브루드링을 올리면 한 마리당 미네랄과 가스 1,000씩을 얻을 수 있으며, Mutant Xenomorph를 올리면 무한 자원이 됩니다. 자신의 실력에 비해 난이도가 너무 높을 경우에만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
  • 브루드 워로 실행하여 울트라리스크 덴의 두 업그레이드를 하는 것도 설정보다 난이도를 낮추는 방법입니다.
  • 하드 모드가 존재는 합니다.

기타

데모 버전 시점이라는 설정상, 성큰 콜로니 체력 (400), 스포닝풀 건설 필요 자원 (미네랄 150) 등 스타크래프트 초창기로 돌릴 수 있는 모든 수치는 돌려져 있습니다. 패치가 설정의 변경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그 당시 감성을 살리고 싶었습니다. 트리거도 초창기에 지원하던 것만을 사용하여 데모 버전과 호환이 됩니다. 추억의 Ultimate Patch가 있는 분은 본 맵을 데모 버전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쓸 데 없이 데모 버전 호환을 위해 EUD가 필요한 부분은 손대지 않아 데모 버전과 난이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아래는 EUD를 쓰지 않아 초창기 설정으로 롤백할 수 없었던 것들의 목록입니다. (버그 패치는 목록에서 제외함. 화살표 왼쪽이 초창기 설정이며, 1.16.1 이후 버전으로 실행하면 화살표 오른쪽 값이 적용됨. 버프와 너프는 플레이어(저그) 입장에서의 서술임.)

 

  • (버프)
    • 울트라리스크 인구 6→4
    • 성큰 콜로니 공격 주기 58?→32
    • 브루드 워로 실행할 경우 울트라리스크 덴의 두 가지 업그레이드가 활성화됨.
    • 뉴머타이즈드 캐러페이스 (오버로드 이동 속도 증가 업그레이드) 완료 시 오버로드 최대 이동 속도 639?→852?
    • 레이스 지상 공격 속도 22?→30
    • 스폰 브루들링 사정거리 8?→9
    • 수송선 하차 속도 증가 ?→?
  • (너프)
    • 해처리의 라바 생산 평균 주기 256?→342
    • 이레이디에이트 대미지 210 (2.5씩 84회, 오버로드가 추가 공격 없이 죽지 않음.)→249.90 (853/256씩 75회)
    • 유닛이 수송선에서 내릴 경우 그 시점으로부터 공격 쿨타임이 적용됨.
    • 드롭십 최대 이동 속도 <1133→1400
    • 사이언스 베슬 가속도 ?→50
    • 사이언스 베슬 시야 8?→10
    • 야마토 건 공격력 250→260
    • 패러사이트 사정거리 14?→12
    • 골리앗 지상 사정거리 5?→6
  • (기타)
    • 스포어콜로니 공격 종류 폭발형→일반형 (상대 공중 유닛은 모두 대형이므로 차이가 없음.)
    • 브루드 워로 실행할 경우 러커 생산 가능함: 러커 생산 시 적군이 추가됨.

큰 의미는 없는데 데모 버전과 현 버전을 비교하다 궁금증이 생겨 위 목록을 정확한 수치를 밝혀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가 있는 부분은 제가 검색해서 찾은 것 또는 실험으로 추정한 것이라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 없으면 데이터를 뜯어본 것이거나 직접 실험으로 정확하게 밝힌 수치입니다. 일례로 249와 232/256 이상 체력의 생체 유닛은 irradiate만으로 죽지 않습니다.


테스트

어차피 초창기 버전으로 스타크래프트를 하는 사람은 거의 없으므로 1.16.1 이후 버전 기준으로 테스트 하며 난이도를 조절했는데, 초창기 버전 대비 성큰 콜로니 버프와 울트라리스크 버프가 난이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입니다. 1.04 패치에서 라바 생산 속도에 너프가 있었지만 해처리를 더 짓는 건 일회성 비용이고 적이 해처리를 우선하여 공격하지는 않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패치 이후가 난이도가 더 낮은 것으로 보입니다. 초창기 버전 기준으로 클리어가 가능한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설정에 충실하려면 스타크래프트 오리지널로 또는 울트라리스크 캐번에서의 업그레이드 두 종류 없이 진행하는 것을 권장하며, 초창기 버전으로 플레이해 보고 싶은 분은 스타크래프트 1.00 버전을 구하시거나 데모 버전과 아래 .chk 파일을 받아 실행하시면 됩니다. 추후에 필요하다면 유닛 성능을 초창기 버전으로 돌리는 EUD 트리거를 도입하는 건 고려하고 있습니다.


전략

저는 주위 고수에게 부탁해서 이 맵이 클리어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뿐이고 제 실력으로는 자원 무한 해야 클리어가 가능합니다. 직접 공격하러 오는 적은 업그레이드가 안 된 상태이지만 언덕 위 상대 방어 병력은 공격력과 방어력이 모두 4 업그레이드가 되어 있어 초반에는 대미지를 입히는 것조차 쉽지 않습니다. 시작부터 에볼루션 체임버 셋과 스파이어 둘을 짓고 게임 끝까지 업그레이드를 멈추어서는 안 되어 보입니다. 가디언을 운용할 것이라면 스파이어 셋을 지어 그레이터 스파이어 변태 도중에도 업그레이드를 계속 진행합니다. 언덕 위에서의 시즈 탱크 포격을 뚫고 지나가야 하기에 울트라리스크를 많이 모아 다크 스웜 쓰고 언덕을 올라야 하는 것 같습니다. 저글링만으로는 언덕 위의 영웅 파이어뱃을 공략하기 어렵습니다. 영웅 레이스는 스커지로 격추하는 게 최선으로 보이고, 클로킹을 하기에 항상 오버로드를 대동해야 합니다. 레벨 10부터는 상하 기지에서 나오는 드롭십이 계속 마인을 매설하므로 울트라리스크에 치명적이니 미션 목표는 아니지만 상하 기지를 우선 파괴하는 것이 순서이지 않나 합니다. 커맨드 센터 체력이 높으므로 퀸을 동원해서 감염시키는 방식으로 커맨드 센터를 제거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사실 이 맵을 레이스는 스커지로 격추하고 공격은 땡가디언으로 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만들었는데 (그래서 초기 버전에는 땡가디언 시 상대 병력이 추가되었습니다.) 테스터는 그 방식이 효율적이지 않은 것 같다고 합니다. 다만 언덕 위 방어 병력은 언덕 아래로 내려올 수 없게 되어 있어서 미사일 터렛, 시즈 탱크와 벙커만 가디언으로 제거하는 건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물론 돈 무한으로 하면 땡가디언 가능합니다.

Chau Sara - The Xenomorphs v0.8.scm
0.11MB

 

Chau Sara - The Xenomorphs v0.8.chk
1.32MB

(데모 버전용)